고사성어
[ 생살여탈 - 生殺與奪 ]
우암
2023. 11. 6. 05:02
( 살 생 / 죽일 살 / 줄 여 / 빼앗을 탈 )
" 살리기도 하고 죽이기도 하고, 주기도 하고 빼앗기도 한다'는 뜻으로, 남의 목숨이나 재물을 마음대로 한다는 말이다.
< 출 전 > 한비자(韓非子). 삼수편(三守篇)

춘추전국시대 말 한(韓) 나라의 공자로 순자(荀子)에게 배운 사상가이자 법가 학파를 대표하는 인물인 한비자의 말이다.
" 신하를 감독하는 수고를 꺼러 신하를 죽이기도 하고 살리기도 하는 기회나, 관직을 주거나 빼앗는 권리( 生殺與奪權 )를 중신에게 위임하는 군주는 결국 지배자의 지위를 빼앗기게 된다."
생사여탈은 한비자가 절대군주를 주장하면서 한 말에서 나왔다. 그는 군주가 전반적인 통치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대표적인 권리로써 생살여탈권을 내세웠다. 만약 이 권리를 남에게 양도한다면 그는 더 이상 군주로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한비자는 진(秦) 나라의 시황제에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법가(法家) 사상가다. 그는 말은 더듬었지만 두뇌가 명석하여 지략은 진나라의 재상 이사(李斯)가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정도였다. 시황제의 총애가 그에게로 갈 것을 두려워한 이사는 이를 불안하게 여겨 참소하여 하옥하도록 하였다.
소심했던 한비자는 이것을 견디지 못하고 자살하고 말았는데, 그의 법가사상은 인정(人情)을 무시하고 무자비한 법치주의를 내세운, 냉혹하고 잔인한 술책이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한비자를 한 번만이라도 볼 수 있으면 죽어도 여한이 없다고 했던 진시황과 동문수학한 이사는 한비를 죽였지만 그의 사상은 고스란히 접수하여 날로 커져가는 그들의 제국을 통치하는데 한껏 활용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