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안비슬 - 奴顔婢膝 ]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노안비슬 - 奴顔婢膝 ]

고사성어

by 우암 2022. 6. 6. 10:04

본문

( 종 노 / 얼굴 안 / 여자종 비 / 무릎 슬 )

" 남자 종의 얼굴과 여자 종의 무릎"이란 뜻으로, 하인처럼 굽실거리는 얼굴로 비굴하게 알랑대는 태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 출 전 >  갈홍(葛洪)의 포박자(抱朴子)  /  육구몽(陸龜蒙)의 강호산인가(江湖散人歌)

진(晉) 나라 때는 전란 중에도 많은 사람들이 높은 벼슬 자리를 얻어 재산을 모으려고 권세 있는 사람들을 찾아다녔다. 그들은 정직한 사람들을 보고 시세를 모르는 무능하고 완고한 사람이라고 욕했고, 이런 풍조를 오히려 정상적인 것으로 여겼다. 이런 시기에 갈홍이 <포박자>를 지었는데, 그는 이 책의 교제 편에서 친구를 사귀는 원칙과 방법을 소개하며, 당시 사회의 이러한 현상을 명확하게 지적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남자 종의 표정과 여자 종의 눈치를 가진 사람은 세상을 잘 아는 사람이다. ( 以奴顔婢膝者爲曉解當世 )"

 

당나라 육구몽의 <강호산인가>에도 같은 말이 나온다.

 " 남자 종의 비굴한 얼굴 표정과 여자 종의 무릎 꿇는 태도는  그야말로 거지이지만 도리어 정직한 사람을 미쳤다고 여긴다. ( 奴顔婢膝眞乞丐.  反以正直爲狂痴. )

 

남송 도종(度宗) 때 원나라의 침입을 당해 국가가 멸망의 위기에 처했는데도 황제는 향략에만 빠져 있고, 재상 가사도(賈似道)는 위급한 상황을 숨기기에만 바빴다. 대신 진중미(陳仲微)가 황제에게 상소를 올려 "고종 재위 시에 왕과 신하가 모두 어리석어 적군이 침입했을 때, 모두들 머리를 조아리고 마음속을 다 꺼내 주고, 마치 남종처럼 비굴한 웃음을 짓고, 여종처럼 무릎을 꿇고 용서를 빌었는데 ( 俯首吐心.  奴顔婢膝.) 이를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하지만 도종은 이 말을 새겨듣지 않았으며, 그의 아들 공종(恭宗) 때 이르러 결국 남송은 멸망을 당하고 말았다.

 

즉, 다른 사람과 사귈 때 환심을 사려고 남에게 빌붙어 종처럼 지나치게 굽실굽실하고 아부하면서 비굴한 태도를 취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