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우지기 - 食牛之氣 ]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식우지기 - 食牛之氣 ]

고사성어

by 우암 2024. 2. 21. 06:01

본문

( 먹을 식 / 소 우 / 갈 지 / 기운 기 )

" 소를 잡아 먹을 기상"이란 뜻으로, 나이는 어리나 큰 기개가 있음을 이르는 말.

< 출 전 >  시자  ( 尸子 )

  < 시자 尸子 >는 춘추시대 진(晉)나라 사람 시교(尸校)가 지은 책으로, 20편 가운데 2권이 전해진다. 시교는 진(秦)나라 승상이었던 상앙(商央)까지도 가르침을 받기를 바란 적이 있을 정도로 학식이 상당히 높은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시자>에 있는 말이다.

  "호랑이나 표범의 새끼는 털에 무늬가 생기기도 전에 소를 잡아 먹을 만한 기상이 있고 ( 虎豹之駒  未成文  而有食牛之氣 ), 큰 기러기와 고니의 새끼는 날개가 다 자라기도 전에 사해를 날아다닐 마음이 있으니, 현자의 삶 또한 그러하다."

 

 

  또 당(唐)나라의 시인 두보(杜甫)가 지은 "서경이자가 ( 徐卿二子歌 )"라는 시에 있는 구절이다.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서경의 두 아들이 뛰어난 것을 

  길한 꿈에 감응하여 연이어 태어났다네.

   - - - - - 

  다섯 살 어린아이 소를 삼킬 듯한 기상 있어,

  자리 가득 메운 손님들 모두 고개 돌려 바라보내

   - - - - - -

  대장부 아들 낳아 이 두 자식 같다면야

  명성과 지위가 어찌 낮고 미천하다고 그칠 수 있겠는가.

 

  君不見徐卿二子生絶奇 (군불견서경이자생절기 )  感應吉夢相追隨 ( 감응길몽상추수 )

  小兒五歲氣呑牛 ( 소아오세기탄우 )                          滿堂貴客皆回頭 ( 만당귀객개회두 )

  丈夫生兒有如此二雛者 ( 장부생아 유여차이추자 ) 名位豈肯卑微休 ( 명위기긍비미휴 )

 

    여기서 유래하여 식우지기 또는 탄우지기는 기백이 넘쳐 흐르는 모습이나 어려서부터 크게 될 기개를 지닌 제목을 비유하는 성어로 사용된다.

 

    " 탄우지기 (呑牛之氣)"라고도 한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