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까마귀의 사사로운 정 "이라는 뜻으로, 까마귀가 자라서 길러준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먹여 은혜를 갚는 것과 마찬가지로 부모를 섬기는 자식의 지극한 효심을 비유하는 성어이다.
<유사어> 오조지정(烏鳥之情)
< 출 전 > 이밀. 진정표(陳情表)
진(晉) 나라 사람 이밀(李密)은 태어난 지 6개월 만에 아버지를 여의고 네 살 때 어머니도 개가하여 조모인 유씨(劉氏) 손에 자랐으므로 조모에 대한 효심이 지극하였다.
진(陳) 무제(사마염)가 이밀을 태자세마(太子洗馬)에 임명하였을 때 조모 유 씨는 90세가 넘어 병석에 있었다. 이밀은 조모를 봉양해야 하므로 명을 따를 수 없는 사정을 글로 옮겨 무제에게 올렸는데, 이것이 "진정표"이다.
이밀은 글의 말미에 다음과 같이 간곡하게 말하였다.
" 신(臣) 밀은 올해 44세이고 조모 유씨는 96세이니, 신이 폐하께 절의(節義)를 다할 날은 길고, 유씨를 봉양할 날은 짧습니다. 까마귀가 먹이를 물어다 늙은 어미에게 먹여 은혜를 갚듯이, 조모가 돌아 가시는 날까지 봉양하게 해 주시기를 바라옵니다. ( 烏鳥私情 願乞終養 ).
신의 고충은 촉(蜀) 땅의 인사들 뿐 아니라 양주와 익주의 장관들까지 잘 알고 있습니다. 바라건대 폐하께서는 어리석은 정성을 가엽게 여겨 신의 작은 뜻을 들어주십시오. 유씨가 요행히 여생을 끝까지 보존하게 된다면 신은 살아서는 마땅히 목숨을 바쳐 폐하를 섬기고, 죽어서도 결초보은(結草報恩) 할 것입니다. 신이 두려운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절하며 표(表)를 올려 아뢰나이다."
무제는 이 글을 읽고 이밀의 효심에 감동하여 관직에 임명하려던 뜻을 거둔 것은 물론 이밀로 하여금 조모를 잘 봉양할 수 있도록 노비와 식량까지 하사하였다.
중국문학에서 서정문(抒情文)을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로, 제갈량의 "출사표" 한유의 "제십이랑문"과 더불어 중국 3대 명문에 속한다.
예로부터 "출사표"를 읽고 눈물을 흘리지 않으면 효자가 아니다."라는 말이 잇다.
진정표를 쓴 이밀( 224~287)은 진(晉) 나라 무양(武陽) 사람으로, 태어나서 6개월 만에 아버지를 잃고, 네 살 때 어머니가 개가(改嫁)하여 조모 유씨의 손에서 자랐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