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땔나무(섶)에 누워 쓸개를 맛본다"는 말이다. 원수를 갚을 생각을 잠시도 잊지 않고 괴롭고 어려움을 참고 견딘다는 말이다.
( <출전> 십팔사략 / 사기. 월세가
"와신상담"은 붙은문자이긴 하지만, 한 사람의 일이 아니고 각각 다른 두 사람의 이야기가 합쳐져서 생긴 말이다.
주(周)의 경왕(敬王) 24년 오왕 합려(闔閭)는 월왕 구천(勾踐0과 추리의 싸움에서 월의 군략에 걸려 패했다. 합려는 적의 화살에 손가락에 상처를 입었는데, 패주하는 바람에 충분한 치료를 하지 못한 채 겨우 경이라는 곳까지 도망쳤을 때, 갑자기 그 상처가 악화되어 죽었다. 임종 때 그는 반드시 월에 복수를 하여 자기의 분함을 풀어 주도록 태자인 부차(夫差)를 불러 유명(遺命)을 했다.
아버지의 뒤를 이어 오왕이 된 부차의 귀에는 언제나 그 아버지의 유명이 들렸다. 눈에는 언제나 분해 하던 임종시의 아버지 형상이 보였다. 그는 무슨 일이 있어도 아버지의 원한을 풀어 드려야겠다는 굳은 결의로 밤마다 장작 위에 누워(臥薪), 아버지의 유언을 새롭게 하며 복수심을 갈고 갈았다. 뿐더러 그는 자기 방 앞에 사람을 세워 두고 나고 들 때마다 아버지의 유명을 소리쳐 말하게 했다. "부차야, 아비 죽인 원수를 잊었느냐!"
" 결코 잊지 않겠습니다. 3년 내에 반드시 원수를 갚겠습니다!"
부차는 그럴 때마다 이렇게 대답했다. 그것은 임종 때 그가 아버지에게 대답한 말과 똑같은 말이었다. 이리하여 그는 낮이고 밤이고 복수를 맹세하고, 오로지 군사를 훈련해서 때가 이르기를 기다렸다.
부차의 이 같은 소식을 들은 월왕 구천은 선수를 써서 오나라를 먼저 쳐들어 갔으나 패하고 만다. 싸움에 크게 패한 구천은 겨우 5천 명 남은 군사를 거느리고 회계산에서 농성을 하지만 결국은 견디지 못하고 오나라에 항복을 하고 만다. 구천은 내외가 함께 오나라의 포로가 되어 범려와 함께 갖은 고역과 모욕을 겪은 끝에 영원히 오나라의 속국이 되기를 맹세하고 무사히 귀국하게 된다.
구천은 자기 나라로 돌아오자 일부러 몸과 마음을 괴롭히며, 자리 옆에는 항상 쓸개를 달아매어 두고, 앉을 때나 이 쓸개를 씹으며 쓴맛을 되씹었다. 또 음식을 먹을 때도 먼저 쓸개를 씹고 나서, "너는 회계의 치욕을 잊었느냐" 하고 자신에게 타이르곤 했다.
월왕 구천이 오나라를 쳐서 이기고 오왕 부차로 하여금 자살하게 만든 것은 이로부터 20년 가까운 뒷날의 일이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