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공이 산을 옮기다"라는 뜻으로, 어떠한 어려움도 굳쎈 의지로 밀고 나가면 극복할 수 있으며, 하고자 하는 마음만 먹으면 못 할 일이 없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출 전 > 열자(列子) 탕문편
태항산(太行山)과 왕옥산(王屋山)은 사방 둘레가 7백 리나 되고, 높이가 만 길이나 되는데, 원래는 기주(冀州 :하북성), 하양(河陽:하남성) 북쪽에 있었다.
그런데 북산(北山)의 우공이란 사람이 나이는 벌써 아흔이 가까운데 이 두 산을 앞에 놓고 살고 있었기 때문에 산 북쪽이 길을 막고 잇어 드나들 때마다 멀리 돌아서 다녀야만 했다. 영감은 그것이 몹시 불편하게 생각되어 하루는 가족들을 모아 놓고 상의를 했다.
"나는 너희들과 함께 힘을 다해 높은 산을 평평하게 만들고 예주(豫州:하남성) 남쪽으로 길을 내 한수(漢水) 남쪽까지 갈 수 있게 할까 하는데, 너희들 생각은 어떠냐?"
모두가 찬성했다. 그러나 우공의 아내만 이렇게 반대했다.
"당신의 힘으로는 작은 언덕도 허물수가 없을 텐데, 그런 큰 산을 어떻게 한단 말입니까. 그리고 그 흙과 돌은 어디로 다 치운단 말입니까?"
"발해(勃海) 구석이나 은토(隱土) 북쪽에라도 버리면 되겠지"
모두 이렇게 우공을 두둔하고 나섰다. 그래서 우공은 아들 손자들을 거느리고 산을 허물기 시작했다. 짐을 지는 사람은 세 사람, 돌을 깨고 흙을 파서 그것을 삼태기와 거적에 담아 발해로 운반했다.
우공의 이웃에 사는 경성씨(京城氏) 집 과부에게 이제 겨우 7,8세 밖에 안 되는 아들이 하나 있었는데, 이 아이가 또 열심히 우공의 산파는 일을 도왔다. 그러나 1년에 두 차례 겨우 흙과 돌을 버리고 돌아오는 정도였다. 그러자 하곡(河曲)에 잇는 지수(智搜)란 영감이 이 광경을 보고 웃으며 이렇게 말렸다.
" 이 사람아, 어쩌면 그리도 어리석은가. 다 죽어가는 자네 힘으로는 풀 한 포기 제대로 뜯지 못할뗀데, 그 흙과 돌을 어떻게 할 작정인가? "
그러자 우공은 한숨을 내쉬며 이렇게 말했다.
"자네의 그 좁은 소견에는 정말 놀라지 않을 수 없네. 자넨 저 과부의 어린아이 지혜만도 못하지 않은가. 내가 죽더라도 자식이 있지 않은가. 그 자식에 손자가 또 생기고, 그 손자에 또 자식이 생기지 않겠는가. 이렇게 사람은 자자손손 대를 이어 한이 없지만, 산은 불어나는 일이 없지 않은가. 그러나 언젠가는 평평해질 날이 있지 않겠나?"
지수는 말문이 막혀 잠자코 있었다. 두 손에 뱀을 들고 있다는 산신령이 이 말을 듣자, 산을 허무는 인간의 노력이 끝없이 계속될까 겁이 났다. 그래서 옥황상제에게 이를 말려 주도록 호소했다.
그러나 옥황상제는 우공의 정성에 감동하여 힘이 세기로 유명한 과아씨(誇娥氏)의 아들을 시켜 두 산을 옮겨, 하나는 삭동(朔東:삭북 동쪽)에 두고 하나는 옹남(壅南:옹주 남쪽)에 두게 했다. 이리하여 기주 남쪽에서 한수 남쪽에 이르기 까지는 산이 없게 되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