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군난 위신불이 -爲君難爲臣不易 ]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위군난 위신불이 -爲君難爲臣不易 ]

고사성어

by 우암 2024. 12. 16. 00:02

본문

( 할 위 / 임금 군 / 어려울 난 / 신하 신 / 아니 불 / 쉬울 이 )

왕 노릇 하기도 어렵고 신하 노릇 하기도 쉽지 않다. 군림하기도 어렵지만 보좌하기도 쉽지 않다는 뜻으로, 자기가 맡은 본분을 잘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출 전 > 논어. 자로(子路)

   노(魯) 나라의 정공(定公)이 공자에게 물었다.                                                                                                           " 한 마디 말로 나라를 일으킬 수 있다는데 그런 말이 정말 있습니까?"

공자가 말했다.                                                                                                                                                                   " 말이 그렇게 한 마디로 뜻을 나타낼 수 없겠지만, 사람들이 하는 말 가운데 <임금 노릇하기도 어렵고 신하 노릇 하기도 쉽지 않다. 爲君難爲臣不易 >는 말이 있습니다. 만일 임금 노릇 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안다면 그 한 마디가 나라를 일으키는데 가깝지 않겠습니까?

 

공자의 대답에 정공은 고개를 끄덕이면서 다시 물었다.                                                                                              " 한 마디 말로 나라를 잃는다 하였는데  그런 말이 있습니까?"

공자가 다시 대답했다.                                                                                                                                                      " 말이 그렇게 한 마디로 이렇다 할 순 없지만 세상 사람들이 하는 말에  < 내 임금 노릇하기가 즐거운 것이 아니라, 내가 말을 하면 아무도 어기지 못하는 것이 즐겁다.>는 것이 있습니다.  이것이 한 마디로 나라를 잃는다는 말에 가깝지 않겠습니까?"

 

   공자는 남을 다스리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자기가 맡은 일의 중요성을 깨닫고  그 직분을 제대로 수행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깨닫기를 강조하고 있다. 

특히 한 나라를 다스리는 통치자로서 임금이라면  그 역할을 다 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알아 겸허한 마음으로 백성들을 다스린다면 나라를 번성하게 할 수 있지만 막중한 임무는 잊은 채 권력의 힘난 믿고 월권과 독재에 골몰한다면 나라를 망하게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반응형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위무불굴 - 威武不屈 ]  (0) 2024.12.18
[ 위급존망지추 - 危急存亡之秋 ]  (0) 2024.12.17
[ 월하빙인 - 月下氷人 ]  (1) 2024.12.13
[ 월하노인 - 月下老人]  (0) 2024.12.12
[ 월조대포 - 越俎代庖 ]  (0) 2024.12.11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