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유취 - 以類聚 ]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이유취 - 以類聚 ]

고사성어

by 우암 2025. 4. 11. 00:01

본문

( 써 이 / 무리 유 / 모일 취 )

  " 같은 무리끼리 모인다"는 뜻으로,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나 같은 위상의 사람들끼리 모인다는 말이다.

< 출 전 > 사기. 골계열전(滑稽列傳)

  골계(滑稽)란 지식이 풍부하여 어떠한 어려운 문제도 쉽사리 해답을 하는 것을 말하는데 유머 감각이나 코믹함을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전국시대 제(齊)나라의 재상 순우곤은 박학다재할 뿐 아니라 골계도 탁월했다.  그래서 선왕(宣王)을 상대로 어렵고 중대한 국사를 논의할 때도 그 유머 감각을 십분 살려 분위기를 부드럽게 함으로써 문제를 순조롭게 풀어 나가곤 했다.

 

   한번은 선왕이 순우곤에게 말했다.

   "부국강병은 역대 나라의 과제이거니와, 그러려면 경에 버금갈만한 인재들이 과인의 주변에 많아야 할 것이오.  세상에는 숨어 있는 현자(賢者)가 간혹 있을 것인즉, 경은 책임지고 찾아 보도록 하오"

 

   선왕의 명이 있은지 얼마후 순우곤이 일곱 명의 선비를 데리고 입궐했다.

   "저들은 웬 사람들이오?"

   " 지난번 전하께서 말씀하신 현자들입니다"

 

   순우곤은 대답하고, 선비들에게 임금에게 인사드리라고 했다. 그런 다음 이 사람은 이런 재주가 있고 저 사람은 저런 재능이 있다는 식으로 장황하게 소개했다.

   듣고 있던  선왕은 자기도 모르게 얼굴을 찌푸렸다.

   "경의 말은 요령부득 이구려.  아니, 세상에 무슨 현자가 그렇게 많기에 한꺼번에 일곱 사람씩이나 데려온단 말이오?"

   별 볼일 없거나 아니면 사이비 현자가 아니겠느냐 하는 질책 이었는데, 순우곤은 조금도 당황하는 기색이 없이 능청스럽게 대답하는 것이었다.

 

   " 전하, 같은 종류의 새들은 서로 무리지어 삽니다. 따라서 그 새를 잡으려면 서식지를 찾아가면 힘들이지 않고 몇 마리고 잡을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잔디를 구하려면 물가로 갈 것이 아니라 곧장 산으로 가야  몇 수레분이든 구할 수 있는 것입니다. 바로 " 이유취 (以類聚) " 를 아는 요령이지요.  

 

신이 현인을 찾는 일은 냇가에서 물을 푸는 것만큼이나 용이한 일입니다. 전하께서 원하신다면 이 일곱 현자뿐 아니라 더 많이 데려올 수도 있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그의 재치있는 대답에는 선왕도 그만 웃지 않을 수 없었다.

 

 

 

반응형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이전투구 - 泥田鬪狗 ]  (0) 2025.04.15
[ 이일대로 - 以逸待勞 ]  (0) 2025.04.14
[ 이유극강 - 以柔克剛 ]  (1) 2025.04.10
[ 이용후생 - 利用厚生 ]  (2) 2025.04.09
[ 이여반장 - 易如反掌 ]  (0) 2025.04.08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