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염화미소 - 坫華微笑 ]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염화미소 - 坫華微笑 ]

고사성어

by 우암 2024. 7. 29. 00:01

본문

( 집을 염 / 꽃 화 / 작을 미 / 웃을 소 )

말을 하지 않고도 마음과 마음이 통하여 깨달음을 얻게 됨.

< 출 전 > 대범천왕문불결의경

  "꽃을 잡고 미소를 짓다"라는 뜻으로, 석가가 연꽃을 들어 대중에게 보였을 때 가섭만이 그 뜻을 깨달아 미소를 지었다.  그래서 석가가 그에게 불교의 진리를 전수하였다는 고사다. 불교의 대표적인 화두 가운데 하나로서, 염화시중(玷華示衆)이라고도 한다.

   선종에서 선(禪)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전하는 이야기로서, <대범천왕문불결의경>에 기록되어 있는 말이다.

 

   영산(靈山)에서 범왕(梵王)이 석가에게 설법을 청하며 연꽃을 바치자, 석가가 연꽃을 들어 대중들에게 보였다.

   사람들은 그것이 무슨 뜻인지 깨닫지 못하였으나, 가섭만은 참뜻을 깨닫고 미소를 지었고, 이에 석가는 가섭에게 정법안장( 正法眼藏:사람이 본래 갖추고 있는 마음의 묘한 덕 )과 열반묘심( 涅搫妙心:번뇌와 미망에서 벗어나 진리를 깨닫는 마음 ), 실상무상(實相無相:생멸계를 떠난 불변의 진리), 미묘법문( 微妙法門:진리를 깨닫는 마음 ) 등의 불교 진리를 전해 주었다.

 

  즉 말을 하지 않고도 마음과 마음이 통하여 깨달음을 얻게 된다는 뜻으로, 이심전심(以心傳心)의 묘처(妙處)를 이름. 선(禪) 수행의 근거와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화두이다.

 

 

반응형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영과후진 - 盈科後進 ]  (0) 2024.07.31
[ 영계기삼락 - 榮啓期三樂 ]  (0) 2024.07.30
[ 염리예토 - 厭離穢土 ]  (0) 2024.07.26
[ 염량세태 - 炎凉世態 ]  (1) 2024.07.25
[ 연편누독 - 連篇累牘 ]  (1) 2024.07.24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