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교근공"은 멀리 떨어진 나라와는 친하게 지내고, 가까이 이웃하고 있는 나라는 이를 침략해 들어가는 외교정책을 말한다.
< 출 전 > 사기. 범수채택열전
범수는 위나라 사란으로 자(字)는 숙(叔)이라 했다. 제후들을 유세(遊說)하고 싶었으나 집이 가난한 탓으로 여비가 없어 길을 떠나지 못하고, 위나라 왕을 섬길 생각이었으나 그마저 통할 길이 없어 우선 중대부(中大夫) 수고(須賈)의 밑에서 일을 보고 있었다.
어느 해, 수고가 위나라 소왕(昭王)의 명령으로 제나라에 사신으로 가는 길에 범수도 함께 따라가게 되었다.
제왕과 회담하는 자리에서 수고가 미처 대답을 못해 당황하면 범수가 대신 대답을 하곤 했다. 제왕은 범수의 재주를 아껴 그를 제나라에 머물러 있게 하고 싶었으나 사신으로 따라온 사람이라 그럴 수도 없고, 뒷날을 약속하는 고기와 술과 금 열 근을 보내왔다. 범수는 금은 사양하고 술과 고기만을 받았다.
이 사실을 안 수고는 귀국하자 위제(魏齊)에게 범수가 수상하다고 일러 바쳤다. 성질이 급한 위제는 당장 범수를 잡아들였다. 무슨 비밀을 제나라에 알려 주었느냐고 문초하기 시작했다.
범수는 맞아 이가 부러지고 갈비뼈가 부러졌다. 범수가 죽을 시늉을 하고 있자 거적에 싸서 헛간에 놓아두고 술 취한 손들을 시켜 범수의 시체 위에 오줌을 누게 했다. 범수는 자기를 지키고 있는 사람을 매수해서, 위제의 승낙을 얻어 들판에 갖다 버리게 한 다음, 친구 정안평(鄭安平)의 집으로 가 숨어 있었다.
얼마 후 진나라 사신으로 온 왕계(王稽)의 도움으로 몰래 진나라로 들어온 다음, 마침내 진소왕(秦昭王)을 만나 당면한 문제와 원교근공의 외교정책 등을 말함으로써 일약 현임 재상을 밀어내고 진나라의 재상이 된다.
범수가 "원교근공'을 말한 대목을 소개하면 이렇다.
" - - - - - 왕께서 멀리 사귀고 가까이 치는 것보다 좋은 방법은 없습니다. 한 치를 얻어도 왕의 한 치 땅이 되고, 한 자를 얻어도 왕의 한 자 땅이 됩니다. 이제 이를 버리고 멀리 공략을 한다면 어찌 틀린 일이 아니겠습니까 ( - - - - 王不如遠而近攻 得寸則王之寸也 得尺亦王之尺也 今釋此而遠攻 不亦繆乎 )"
원수는 외나무 다리에서 만난다고, 얼마 후 범수는 수고를 만나게 되었는데, 그 이야기가 또 유명하다.
범수는 장록(張祿)이란 가명을 쓰고 있었다. 진나라가 위나라를 치려 한다는 소문을 전해 들은 위나라에서는 수고를 사신으로 보내 새로 등장한 장록 재상의 호감을 사도록 술책을 썼다. 범수는 다 떨어진 옷을 입고 수고가 묶고 있는 객관으로 찾아갔다. 수고는 깜짝 놀라 물었다.
"범숙(范叔)이 이제 보니 무사했구려!"
" 천명으로 무사했습니다"
"진나라로 유세를 온 건가?"
"천만에요. 도망쳐 온몸이 유세가 뮙니까?"
" 그래 지금 뭘 하고 있지?"
" 남의 집 고용살이를 하고 있습니다."
"범숙이 이토록 고생을 하고 있다니!'
수고는 음식을 나눈 뒤 비단옷 한 벌을 내주었다. 그리고는 이야기 끝에,
" 혹시 진나라 새 재상 장록을 아는지? 이번 일은 그에게 달려 있는데 - - - -"하고 물었다.
"우리 집주인 영감이 잘 알고 지내기 때문에 가끔 뵙기는 합니다. 그럼 제가 대감을 모시고 장재상을 가 뵙도록 하지요"
" 고맙네. 그런데 나는 말이 병들고 수레가 부서져 나갈 수가 없는데, 어떻게 하지?":
" 제가 주인집 큰 수레와 말을 빌려 오겠습니다."
범수가 큰 수레를 몰고 들어오자, 수고는 그와 함께 상부(相府)로 들어갔다. 바라보니 부중 사람들이 모두 피해 숨곤 했다. 수고는 이상하다 싶었으나, 외국 사신에 대해 경의를 표하는 줄로 적당히 생각하고 말았다. 그런데 어찌 된 일인지 먼저 알리고 나오겠다던 범수가 아무리 기다려도 나타나지를 않았다.
나중에야 속은 줄 안 수고는 웃옷을 벗고 무릎으로 기어들어가 사람을 통해 사죄를 했다. 그리하여 온갖 곤욕을 다 치른 끝에 겨우 목숨을 건진 수고는, 위나라 재상 위제의 목을 베어 바치겠다는 약속을 하고 돌아온다.
위제는 겁이 나 조나라로 도망을 쳤으나, "위제를 보호하고 있는 나라는 곧 나의 원수다"하는 범수의 위협에 못 이겨 위제는 조나라에서 다시 쫓겨났다가 결국은 길거리에서 자살하고 만다. 세도만 믿고 사람의 목숨을 파리 목숨처럼 여긴 그도 자기 목숨이 아까운 것만은 절실하게 느꼈으리라.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