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치하문 - 不恥下問 ]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불치하문 - 不恥下問 ]

고사성어

by 우암 2023. 7. 22. 06:07

본문

( 아니 불 / 부끄러울 치 / 아래 하 / 물을 문 )

 '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라는 뜻으로, 손아랫사람이나 지위나 학식이 자기만 못한 사람에게 모르는 것을 묻는 일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 출 전 > 논어. 술이편

  옛날 통치자들은 유가 학설의 창시자인 공자를 가리켜 천성적으로 가장 학문이 있는 성인으로 높이 받들었다. 그러나 공자 자신은 <논어> 술이편에서 이렇게 말했다.

  " 나는 태어나면서부터 학문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옛것을 좋아해서 민첩하게 이를 구하려는 사람이다."

 

  어느 날 공자는 태묘(太廟)에 가서 노나라 임금이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의식에 참가한 적이 있는데, 매사에 모르는 것이 있으면 사람들에게 물어본 뒤 시행했다는 것이다. 이에 어떤 사람들은 그가 의례(儀禮)를 너무 모른다고 비난했다.  그 말을 들은 공자는 이렇게 대답했다고 한다.

  " 내가 모르는 일에 매사 묻는 것이 바로 내가 의례를 알려고 하는 것이 아난가?"라고.

  그 무렵 위나라에는 공어라고 하는 대부가 있었는데, 죽은 뒤에 시호를 문(文)이라 하였다. 때문에 사람들은 그를 공문자(孔文子)라고 불렀다. 이 일을 두고 공자의 제자인 자공(子貢)이 어느 날 공자에게 이렇게 물었다.

 

  " 공문자는 왜 시호를 문이라고 했습니까?"

  그러자 공자가 대답했다.

  " 그는 명민하면서도 배우는 것을 좋아하여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도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문(文)이라고 한 것이다. ( 敏而好學  不取下問  是以謂文也 )"

 

  "불치하문"은 바로 공자의 이 말에서 유래한 것으로, 오늘날에는 겸허하고 부끄럼 없이 배우기를 즐기고 진심으로 남의 가르침을 받는 태도를 말한다.

  비슷한 의미로, " 함께 길을 가는 세 사람 가운데 반드시 나의 스승이 될 만한 사람이 있다"는 뜻의 "삼인행필유아사 ( 三人行必有我師 )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누구에게라도 배울 점이 있다는 말이다.

 

 또 " 공자천주(孔子穿珠)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공자가 실에 구슬 꿰는 방법을 몰라 바느질하는 아낙네에게 물어 개미허리에 실을 매고 구슬 구명 반대편에 꿀을 발라 갭미가 꿀 냄새를 맡고 바늘을 통과해 구슬을 꿰었다는 말인데,

역시 자기보다 못한 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다는 뜻이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