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모호치 - 明眸皓齒 ]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명모호치 - 明眸皓齒 ]

고사성어

by 우암 2022. 12. 4. 06:01

본문

( 밝을 명 / 눈동자 모 / 흴 호 / 이빨 치 )

" 밝은 눈동자와 하얀 치아 "라는 뜻으로, 미인을 비유할 때 쓰는 말이다.

<유사어>  단순호치 ( 丹脣皓齒)

< 출 전 >  두보(杜甫)의 시(詩)  애강두(哀江頭)

 맑은 눈동자 흰 치아 지금은 어디 있나

피땀으로 얼룩진 떠도는 넋은 돌아가지도 못하네.

맑은 위수는 동쪽으로 흐르고 검각은 깊은데

가고 머문 그대와 나는 서로 소식조차 없구나.

인생은 정든 눈물 가슴을 씻어 내리고

강가에 핀 꽃 어찌 다함이 있으랴.

황혼 녘 오랑캐 말발굽 풍진은 자욱한데

성남으로 가고자 성 북쪽을 바라보네.

 

明眸皓齒今何在    명모호치금하재

血汗遊魂歸不得    혈한유혼귀부득

淸渭東流劍閣深    청위동류검각심

去住彼此無消息     거주피차무소식

人生有情淚霑臆     인생유정루점억

江水江花豈終極     강수강화개종극

黃昏胡騎塵滿城     황혼호기진만성

欲往城南望城北     욕왕성남망성북

 

                           -  두보(杜甫)   <애강두 愛江頭>  -

 

 

 당나라 숙종 지덕(至德) 원년(756) 가을, 두보의 나이 마흔 다섯, 안녹산(安祿山)의 난으로 현종은 양귀비와 함께 달아나고 천자로 즉위한 태자가 있는 영무(靈武)로 가던 중 체포되어 장안에 억류되어 있을 때 쓴 것이다.

 

 강두(江頭)는 곡강지(曲江池)로 당시 왕족과 귀족들이 모여 놀던 곳이다. 반란군의 수중에 떨어진 장안에서 봄을 맞은 두보는  이곳 곡강지에 찾아와 옛날의 번화했던 시절을 그리워하면서 이 시를 지었던 것이다.

 

 첫 구절에 나오는 명모호치는 양귀비의 아리따운 자태를 묘사한 말인데, 지금은 보통 미인의 자태를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반응형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명불허전 - 名不虛傳 ]  (1) 2022.12.06
[ 명목장담 - 明目張膽 ]  (0) 2022.12.05
[ 명렬전모 - 名列前茅 ]  (2) 2022.12.03
[ 명락손산 - 名落孫山 ]  (0) 2022.12.02
[ 명고이공 - 鳴鼓而攻 ]  (0) 2022.12.01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