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잠동치 - 飛潛同置 ]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비잠동치 - 飛潛同置 ]

고사성어

by 우암 2023. 8. 6. 05:01

본문

( 날 비 / 잠길 잠 / 같을 동 / 둘, 놓을 치 )

" 날고 잠기는 표현을 같은 작품에 둔다"는 말로, 한시를 지을 때 쓰는 수사법이 하나인 대구법( 對句法 )을 가리킨다.

< 출 전 >  박인량. 사송과사주구산사 (使宋過泗州龜山寺)

 

  한시를 지을 때에는 한 연(聯) 안의 두 구(句)가 자수가 같고, 문법 구성이 같으며, 서로 대응하는 말로 대구를 이루어야 한다.  한 작품 안에서 '위로 나는 표현법'과 '아래로 잠기는 표현법'이 서로 대응하여 균형을 이루도록 해야 하는데, 이를 일러 "비잠동치"라고 한다.

  우리 한시 작품을 통해 살펴보기로 하자. 다음 작품은 고려  초기의 문신인 박인량(朴寅亮)의 <사송과사주구산사>가 주로 인용된다.

 

  험한 바위와 괴이한 돌이 쌓여서 산을 이루었는데

  산 위에는 절이 있고 물이 사방으로 둘렸도다.

  탑 그림자는 강에 떨어져 물결 아래에서 출렁거리고

  풍경 소리는 달을 치며 구름 사이로 떨어진다.

  문 앞에 나그네의 삿대질에 파도는 거침없는데

  대나무 아래 스님은 대낮에 바둑 두며 한가롭다.

  한 번  황화를 받들었다가 떠나니 헤어지기 섭섭하지만

  다시 시구를 남기고 다시 오리라 다짐하노라.

 

巉巖怪石疊成山        ( 참암괴석첩성산 )

山有蓮坊水四還        ( 산유연방수사환 )

塔影倒江翻浪底        ( 탑영도강번랑저 )  

磬聲搖月落雲間        ( 경성요월낙운간 )

門前客棹洪疾疾        ( 문전객도홍파병 )

竹下僧棋白日閒        ( 죽하승기백일한 )

一奉皇華堪惜別        ( 일봉황하감석별 )

更留詩句約重攀        ( 갱유시구약중반 )

 

 

이 시의 제1연에서는 '산'과'물'이 대구를 이르고, 제2연에서는 '탑 그림자'와 '풍경소리'가 대구를 이루며' 제3연에서는 '빠른 물살'과 '한가로운 대낮'이 대구를 이루고, 제4연에서는 '이별'과 다시 오르기'가 대구를 이룬다.

 

특히 제1연과 제2연의 경우에는 ' 산 위의 풍경'과 '산 아래 강물의 풍경;'을 그려 '위로 나는 표현법'과 '아래로 잠기는 표현법'을 대비시켰다.

 

 

 

반응형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비조 - 鼻祖 ]  (0) 2023.08.08
[ 비장수기 - 飛將數奇 ]  (0) 2023.08.07
[ 비익연리 - 比翼連理 ]  (0) 2023.08.05
[ 비아부화 - 飛蛾赴火 ]  (0) 2023.08.03
[ 비부감수 - 蚍蜉撼樹 ]  (0) 2023.08.02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