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시어외 - 先始於隗 ]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선시어외 - 先始於隗 ]

고사성어

by 우암 2023. 11. 18. 05:01

본문

( 먼저 선 / 처음 시 / 어조사 어 / 험할 외 )

" 먼저 외(隗)부터 시작하라"는 뜻으로, 가까이 있는 사람이나 말한 사람부터 시작하라는 말이다. 여기서 외는 곽외(郭외)를 가리킨다.

< 출 전 > 전국책.  연책(燕策)

   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소왕은 제(齊) 나라에 빼앗긴 영토를 되찾고 치욕을 앙갚음을 하기 위해 세상의 뛰어난 인재를 초빙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이 문제를 가까이에 있는 곽외와 상의하였다. 곽외가 말했다.

   ' 이런 옛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떤 임금이 천리마를 구하려고 천냥의 돈을 걸고 기다렸습니다.  그러나 3년이 지나도 천리마는 오지 않았습니다. 

 

   그러자 궁중의 하인 한 사람이 자신이 구해 오겠다며 나섰습니다.  그는 백방으로 수소문해 천리마가 있는 곳을 알았지만, 아쉽게도 그가 도착하기 전에 천리마는 죽어버리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 죽은 말의 뼈를 5백 냥을 주고 사가지고 왔습니다(買死馬骨).  그러자 임금은 "죽은 말의 뼈를 5백 냥이나 주고 사 오다니?" 하며 화를 냈습니다.

 

   그러자 하인은 "생각해 보십시오.  죽은 천리마의 뼈를 5백 냥에 샀다면 산 말이야 이르겠느냐고 생각하지 않겠습니까?  조금만 기다리면 팔겠다며 천리마를 가진 사람이 몰려들 것입니다."  과연 얼마 되지 않아 천리마를 팔겠다는 사람이 셋이나 나타났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왕께서 천하의 영재를 얻고자 하신다면 먼저 가까이 있는 저부터 우대하십시오.  그러면 저절로 천하의 영재들이 몰려들 것입니다.'

   이 말을 수긍한 소왕은 즉각 황금대(黃金臺)를 지어 곽외를 머물게 하고 사부(師 父)로서 받들었다.  그러자 과연 얼마 안 가서 명장 악의(樂毅), 음양가의 비조(鼻祖) 추연(鄒衍), 대정치가 극신(劇辛) 등의 걸출한 인재들이 사방에서 연나라로 몰려들었다.

 

   이들의 힘을 빌려 소왕은 제나라에 대한 원수도 갚고 나라를 부강하게 만들 수 있었다.

   곽외의 이야기 중에서 "죽은 말을 사 왔다"는 "매사마골(買死馬骨)"은 "별 볼일 없는 것을 사서 요긴한 것이 오기를 기다린다"  또는 "하잘것없는 것이라도 소중히 대접하면 긴요한 것은 그에 끌려 자연히 모여든다는 뜻으로 쓰이게 된 말이다.

 

   이것이 "외(隗)부터 시작하라(先始於隗)"의 고사이나,  "손쉬운 나부터 시작하라'는 뉘앙스로 쓰고 있는 듯하다. 또 노인이 취업을 희망할 때 "사마(死馬)"의 뼈를 사주기 바랍니다"라는 말을 쓴다.

   "선종외시(先從隗始)"라고도 한다.

 

반응형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선양방벌 - 禪讓放伐 ]  (0) 2023.11.20
[ 선사좌우 - 善事左右 ]  (0) 2023.11.19
[ 선발제인 - 先發制人 ]  (0) 2023.11.17
[ 선경후사 - 先景後事 ]  (1) 2023.11.16
[ 석파천경 - 石破天驚 ]  (1) 2023.11.15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