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마십가 - 駑馬十駕 ]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노마십가 - 駑馬十駕 ]

고사성어

by 우암 2022. 5. 31. 10:02

본문

( 둔할 노 / 말 마 / 열 십 / 멍에 가 )

"느리고 둔한 말도 준마의 하룻길을 열흘에는 갈 수 있다"는 뜻으로, 둔하고 재능이 모자라는 사람도 열심히 하면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 출 전 >  순자(筍子) 수신편(修身篇) /  권학편(勸學篇)

수신편(修身篇)에서는,

 "천리마는 하루 만에 천리를 달리는데, 둔한 말도 열흘 동안 달리면 이에 미칠 수 있다. ( 夫驥一日而千里  駑馬十駕則亦及之矣 )"

 걸음이 느리고 둔한 노마는 능력이 없는 둔재(鈍才)에 비유하며, 말이 멍에를 지고 하루에 수레를 끌고 다닐 수 있는 거리를 일가(一駕)라고 하는데, 십가(十駕)는 열흘 동안 말이 달린 거리를 가리킨다.

 능력이 부족한 사람도 게으르지 않고, 노력하기를 힘쓰면 재능 있는 사람들과 어깨를 겨눌 수 있다는 말이다.

 

권학편(勸學篇)에서는,

" 흙이 쌓여 산이 이루어지면 바람과 비가 일어나고 물이 모여 못을 이루면 교룡이 생기듯이, 선을 쌓아 덕을 이루면 신명(神明)함을 스스로 체득하고 성스런 마음이 갖추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반걸음을 떼지 않고서는 천 리 길에 이르지 못하며, 작은 개울이 모이지 않으면 강이나 바다를 이루지 못한다.

 천리마라도 한 번에 열 걸음을 뛸 수는 없지만, 둔한 말이라도 열흘 동안 갈 수 있는 것은 포기하지 않기 때문이다.

자르다가 그만두면 썩은 나무도 자를 수 없지만, 새기기를 그만두지 않는다면 쇠나 돌에도 새길 수 있다. 지렁이가 손톱이나 이빨의 날카로움이나 힘줄이나 뼈의 강함이 없어도 위에서 진흙을 먹고 아래에서 물을 마실 수 있는 것은 그 마음가짐이 한결같기 때문이다.

( 積土成山,  風雨與焉,  積水成淵,  蛟龍生焉,  積善成德,  而神明自得,  聖心備焉,  故不積跬步,  無以至千里,  不積小流,  無以成江海,  騏驥一躍,  不能十步,  駑馬十駕,  功在不舍,  鍥而舍之,  朽木不折,  鍥而不舍,  金石可鏤,  蚓無과牙之利,  筋骨之强,  上食埃土,  下食黃泉,  用心一也.)"

 

순자는 '노마십가'라는 말을 들어 배움을 이루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일관된 의지와 실천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반응형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노불습유 - 路不拾遺 ]  (0) 2022.06.02
[ 노발충관 - 怒髮衝冠 ]  (0) 2022.06.01
[ 노마지지 - 老馬之智 ]  (0) 2022.05.30
[ 노노불휴 - 呶呶不休 ]  (0) 2022.05.29
[ 노구능해 - 老嫗能解 ]  (0) 2022.05.28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