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락일고 - 伯樂一顧 ]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백락일고 - 伯樂一顧 ]

고사성어

by 우암 2023. 4. 10. 06:03

본문

( 맡 백 / 즐거울 락 / 한 일 / 돌아볼 고 )

  자기의 재능을 남이 알아주어 인정을 받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 출 전 > 전국책(戰國策)

  백락(伯樂)은 원래 별 이름이다. 이 별은 하늘에서 말을 다스리는 일을 맡고 있기 때문에 남의 말의 좋고 나쁜 것을 잘 아는 사람을 '백락'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하루 천 리를 달릴 수 있는 말도 이를 알아주는 사람이 없으면 짐수레를 끌며 늙고 만다는 뜻이다. 즉 아무리 재주가 뛰어난 사람도 이를 알아주는 사람이 없으면 출세를 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이다.

 

  춘추시대 진목공(秦穆公) 때 손양(孫陽)이란 사람이 말을 잘 알아보았기 때문에 세상 사람들은 그를 백락이라 불렀다.  언젠가 손양이 천리마가 다른 짐말과 함께 소금수레를 끌고 고갯길을 올라오는 것을 마주치게 되었다. 말은 고갯길로 접어들자 발길을 멈추고 멍에를 맨 채 땅에 무릎을 꿇었다.  그리고는 손양을 쳐다보며 큰 소리로 울었다. 손양은 수레에서 내렸다.

 

  "너에게 소금수레를 끌리다니! " 하며 말의 목을 잡고 함께 울었다. 말은 고개를 숙여 한숨을 짓고 다시 고개를 들어 울었다. 그 우렁차고 슬픈 소리는 하늘에까지 울렸다.

 

  백락과 천리마 이야기는 꽤 오랜 옛날부터 전해오고 있는데,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한유(韓愈)의 잡설(雜設)에 나와 있다. 잡설은 수필과 비슷한 뜻이다.

  "세상에 백락이 있은 뒤에라야 천리마가 있는 법이다. 천리마는 항상 있지만, 백락은 항상 있지 못하다. - - - - -  - ( 世有伯樂然後有千里馬  千里馬常  有而伯樂不常有  - - - -- - - )" 

 

 이것은 유명한 말이다. 세상에 인재는 늘 있는 법이다. 다만 그 인재를 알아주는 인물이 없다는 것을 힘주어 말한 데 특색이 있다. 또 천리마는 때로는 한 끼에 곡식 한 섬을 먹는데, 말을 먹이는 사람은 그것이 천리마인 줄을 모르고 먹이는 터라 말은 배가 고파 힘을 낼 수 없어 그 능력을 보여줄 수 없게 된다고 했다.

  아무리 재능이 있는 사람일지라도 그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보통 사람보다 오히려 더 못해 보일 경우도 있다는 것을 비유해 말한 것이다. 한신 같은 재주도 장량(張良)과 소하(蕭何)만이 알았고, 범증 같은 모사도 항우 밑에서는 아무 소용이 없었다.

 

  <전국책>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어떤 사람이 백락을 만나 말하기를 "제게 준마가 한 필 있어 지난번에 팔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사흘이나 저잣거리에 내놓았지만 누구 한 사람 거들떠보지도 않더군요, 청컨대 제 말을 한번 살펴보아 주십시오. 사레는 충분히 하겠습니다" 했습니다.  그래서 백락이 가서 그 말을 한번 살펴보고는 돌아갔습니다. 

그러자 말 값이 갑자기 열 배로 치솟으며 서로 사겠다고 아우성을 쳤다는 것입니다.'

 이 이야기에서 "백낙이 한 번 돌아보았다 (伯樂 一顧) " 는 성구가 나왔는데, 아무리 역량이 탁월한 사람도 뛰어난 사람의 인정을 받아야 그 가치가 드러난다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반응형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룡어복 - 白龍魚服 ]  (0) 2023.04.12
[ 백락자 - 伯樂子 ]  (0) 2023.04.11
[ 백두여신 - 白頭如新 ]  (0) 2023.04.08
[ 백년하청 - 百年河淸 ]  (0) 2023.04.07
[ 백구과극 - 白駒過隙 ]  (0) 2023.04.06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