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벌가벌가 기칙불원 - 伐柯伐柯 其則不遠 ]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벌가벌가 기칙불원 - 伐柯伐柯 其則不遠 ]

고사성어

by 우암 2023. 5. 4. 06:05

본문

( 칠 벌 / 도낏자루 가 / 그 기 / 법칙 칙 / 아니 불 / 멀 원 )

 " 도낏자루를 자름이여, 그 법칙이 멀리 있지 않구나." 진리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스스로 실천하는 가운데에 있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 출 전 > 시경(詩經). 빈풍

도낏자루를 어떻게 자르나

도끼가 없으면 자를 수 없지

부인은 어떻게 맞아들이나

매파가 없으면 맞이하지 못하지

도낏자루를 자름이여

그 법칙은 멀리 있지 않구나

부인을 맞아들이는 것은

예기(禮器) 차려 맞아들이지.

 

伐柯如何   (벌가여하)

匪斧不遠    (비부불원 )

取妻如何    ( 취처여하 )

匪媒不得    (비매불득 )

伐柯伐柯    (벌가벌가 )

其則不遠    (기칙불원 )

我覯之子    (아구지자 )

邊豆有踐    ( 변두유천 )

 

  <  시경.빈풍.벌가  >

 

 

  공자는 도를 설명하면서 이 시의 '벌가벌가 기칙불원'을 인용하여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도는 사람에게서 멀지 않은데, 도를 행할 때는 그것이 멀리 있는 것처럼 한다. 그렇게 하여서는 도를 실천할 수 없다. <시경>에 이르기를 '도낏자루를 자름이여, 그 법칙이 멀리 있지 않구나'라고 하였다. 

 

도낏자루를 잡고 도낏자루를 베는데 그냥 물끄러미 바라보기만 하면서 그 일이 멀다고만 여긴다. 그러므로 군자는 사람으로서 사람을 다스리고, 허물이 고쳐지면 그친다. 충서(忠恕)는 도에서 멀리 있지 않다. 자기 스스로에게 시키는 것을 원치 않으면 남에게도 역시 시키지 말아야 한다.

  이 이야기는 <중용 中庸>에 나온다. 도낏자루를 쓸 나무를 벨 때에 산에 있는 나무를 모두 일일이 살펴볼 필요는 없다. 다만 자기 손에 쥐고 있는 도끼의 구멍 크기에 맞을 만한 나무를 골라 베면 된다.

 

도 역시 이와 마찬가지로, 자기가 감당할 수 없는 멀고 큰 것을 찾을 필요가 없이 자신을 성찰하는 데에서 출발하면 된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