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하지맹 - 城下之盟 ]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성하지맹 - 城下之盟 ]

고사성어

by 우암 2023. 12. 8. 05:01

본문

( 성 성 / 아래 하 / 갈 지 / 맹세할 맹 )

"성 아래에서의  맹약"이라는 뜻으로,  힘에 굴복하여 굴욕적인 조약을 맺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출 전 > 춘추좌씨전. 환공(桓公)

  핍박에 못 이겨 굴욕적으로 맺은 조약으로 적에게 성을 포위당한 끝에 견디다 못해 나가 항복하는 것이 성하지맹이다.  <춘추좌씨전> 환공 12년(BC 700)의 기록에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 그 계책을 따르니 교(絞) 사람들은 초나라 인부 30명을 사로잡았다.  이튿날에는 교 사람들이 서로 앞 다투어 나서서 초나라 인부들을 쫓아 산속으로 달려갔다. 초나라 군사들이 그 북문을 지키고 산 아래 숨어 있었으므로 교 사람들은 대패하여 성 아래서 맹세하고 돌아갔다. ( 楚人坐其北門.  而覆諸山下.  大敗之.  爲城下之盟而還 )"

 

    초(楚) 나라가 교로 쳐들어 갔을 때의 일이다.  초나라가 교(絞)를 쳐들어가 성 남문에 진을 쳤다. 막오(莫敖)라는 벼슬에 있는 굴하(屈瑕)가 계책을 말했다.

    " 교 땅의 사람들은 도량이 좁고 경솔합니다. 사람이 경솔하면 또한 생각하고 염려하는 것이 부족합니다. 땔나무를 하는 인부들을 호위병을 딸리지 않은 채 내보내서 이것을 미끼로 삼아 그들을 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그래서 굴하의 꾀에 따라 나무하는 인부들을 호위병 없이 내보냈다.  교 땅 사람들은 예상한 대로 북문을 열고 나와 산속에 있는 초나라 인부를 30명이나 잡아갔다.

    이튿날 더 많은 인부를 내보냈다.  교 땅 사람들은 어제 있었던 일에 재미를 붙여, 성문을 열고 서로 앞을 다투어 산속의 인부를 쫓기에 바빴다.  초나라 군사는 이 틈에 북문을 점령하고, 산기슭에 숨겨 두었던 복병이 일어나 성 밖으로 나온 군사를 습격함으로써 크게 승리를 거두고 성 아래에서의  맹세를 하고 돌아왔다는 것이다. 

 

    성 아래에서의 맹세는 압도적인 승리와 패배를  뜻하므로 "성하지맹"을 당하는 쪽의 굴욕은 견디기 어려운 것이 아닐 수 없다.  이를 증명해 주는 예가 선공(宣公) 15년의 기록에 나온다.

    초나라가 송나라 성을 포위했을 때 송나라가 끝내 버티고 항복을 하지 않는지라, 초나라는 신숙시(申叔時)의 꾀를 써서 숙사를 짓고 밭을 가는 등 장기전 태세를 보였다.

 

    과연 송나라는 겁을 먹고 사신을 보내 화평을 청해 왔다.

     " 성 아래에서의 맹세는 나라가 망하는 한이 있어도 맺을 수가 없습니다.  그러니 군대를 30리만 후퇴시켜 주십시오.  그러면 어떤 조건이라도 받아들이겠습니다."

 

    "성하지맹"은 교 사람들이 성 아래까지 진격해 들어온 초나라에게 항복할 것을 맹세하는, 즉 초나라에게는 압도적인 승리요,  교에게는 굴욕적인 패배를 비유한 말이다. 제대로 반격해 보지도 못하고 항복하여 치욕적인 강화를 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을 볼 때 "성하지맹"이 얼마나 당하는 쪽에는 견딜 수 없는 굴욕인지를 알 수 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