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비지심 - 是非之心 ]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시비지심 - 是非之心 ]

고사성어

by 우암 2024. 2. 10. 05:01

본문

( 옳을 시 / 그를 비 / 의 지 / 마음 심 )

옳고 그름을 가릴 중 아는 마음. 선을 옳게 여기고 악을 그르게 여기는 마음.

< 출 전 > 맹자. 공손추편

맹자의 사단설(四端設) 가운데 나오는 말이다.

  "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없으면(無惻隱之心) 사람이 아니고(非人也), 부끄러운 마음이 없으면(無差惡之心) 사람이 아니며, 사양하는 마음이 없으면(無辭讓之心) 사람이 아니다. 불쌍히 여기는 마음(惻隱之心)은 어짊의 극치이고,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羞惡之心)은 옳음의 극치이고, 사양하는 마음(辭讓之心)은 예절의 극치이고, 옳고 그름을 아는 마음(是非之心)은 지혜의 극치이다."

 

    이 말은 맹자가 독창적으로 주창한 인성론으로서 "사단설" 또는 "성선설(性善說)"이라고도 한다. 성선설이란 사람의 본성은 "선(善)"이라고 보는 학설이다.

   맹자에 따르면 사람의 본성은 의지적인 확충작용에 의해 덕성으로 높일 수 있는 단서를 천부적으로 가지고 있다. 측은(惻隱). 수오(羞惡). 사양(辭讓). 시비(是非)의 마음이 4단(四端)이며, 그것은 각각 인(仁). 의(義). 예(禮). 지(智)의 근원을 이룬다.

 

  맹자의 정치사상의 핵심은 왕도정치인데, 이 왕도정치가 가능한 것은 사람의 본성이 선하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것이다. 곧 사람의 본성은 착하다고 보고 그 마음을 확대하여 나가면 " 인. 의. 예. 지"라는 네 가지 덕을 완성하게 되고, 다시 이 덕행으로 천하의 백성들을 교화시킴으로써 

    왕도정치가 실현된다고 보았다.  맹자는 왕도정치의 정신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 사람은 다 사람에게 차마 못하는 마음이 있다. 왕이 먼저 백성에게 차마 못하는 마음이 있으면, 백성에게 차마 못하는 정치가 있다.. 백성에게 차마 못하는 정치를 행하면 천하 다스리기를 손바닥 안에서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사람에게 차마 못하는 마음이란, 사람에게 해를 가하는 것을 차마 하지 못하여 사람의 불행을 앉아서 차마 보지 못하는 마음을 말하는데, 이 마음으로 천하를 다스린다면 마치 손바닥 위에서 물건을 굴리는 것과 같이 아주 쉽게 공을 거둘 수 있다는 말이다.  맹자는 사람에게 차마 못하는 마음은 사람에게 본래 있는 것이라며 성선설을 입증하고 있다.

    " 사람들은 다 사람에게 차마 못하는 마음이 있다고 하는 까닭은 이러하다. 이제 사람들이 어린아이가 막 우물에 빠지는 것을 보면 다 놀라고 불쌍한 마음을 가진다. 이는 그 어린아이의 부모와 사귀려 함도 아니며, 마을 사람들과 벗들에게 칭찬을 받기 위하여 그러는 까닭이 아니며, 그 원성을 듣기 싫어서 그렇게 하는 것도 아니다.  단지 옳고 그름을 아는 마음(是非之心)이 있기 때문인 것이다."

 

  맹자는 사람들은 다 차마 못하는 마음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앞의 이야기로 설명하고 있다. 곧, 어린아이가 위험에 처했을 때 사람들은 누구나 두려워 근심하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들어 반드시 달려가 구하려고 하는데, 이는 사람에게 차마 못하는 근본 마음이 본능적으로 행동하게 할 뿐이라는 것이다.

 

 

반응형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시위소찬 - 尸位素餐 ]  (1) 2024.02.12
[ 시우지화 - 時雨之化 ]  (0) 2024.02.11
[ 시언지 가영언 - 詩言志 歌永言 ]  (0) 2024.02.09
[ 시랑당로 - 豺狼當路 ]  (2) 2024.02.08
[ 시도지교 - 市道之交 ]  (1) 2024.02.07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